본문 바로가기
건강

희귀병 환자들이 겪는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과 해결 방안

by new-find-1 2025. 2. 27.

1. 끝없는 병원비, 희귀병 환자의 경제적 부담

희귀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치료비입니다. 일반적인 감기나 독감처럼 병원에 몇 번 다녀오는 수준이 아니라, 평생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죠. 게다가 희귀병은 환자 수가 적다 보니, 치료제 개발이 활발하지 않아 약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습니다.

예를 들어, 한 해 치료비가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억 단위까지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스핀라자 같은 희귀병 치료제는 1회 투약에 수천만 원이 들어가고, 1년에 몇 번씩 맞아야 하죠. 이런 약을 감당할 수 있는 가정이 몇이나 될까요?

설상가상으로, 병원에 자주 가야 하니 정상적인 직장 생활도 어렵습니다. 직장을 잃게 되면 건강보험 지원도 줄어들고, 치료비 부담이 더 커지죠. 결국 부모나 가족들이 환자의 치료비를 감당해야 하는데, 이것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희귀병을 가진 가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한 가정이 경제적으로 흔들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부에서 일부 의료비 지원을 해주긴 하지만, 모든 희귀병이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결국, 희귀병 환자들은 비싼 약값과 부족한 지원 사이에서 끝없는 싸움을 이어가야 하는 현실입니다.

희귀병 환자들이 겪는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과 해결 방안

 

2. 희귀병 환자들의 또 다른 아픔, 사회적 고립과 차별

희귀병 환자들은 몸이 아픈 것만으로도 힘든데, 사람들의 시선과 편견 때문에 더 큰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피부나 얼굴에 변화가 생기는 희귀병을 가진 환자들은 밖에 나가는 것조차 부담스러울 때가 많아요. “왜 저래?” 하는 시선과 속삭임이 상처가 되기 때문이죠. 신경섬유종증이나 트레처 콜린스 증후군 같은 병을 가진 사람들은 이런 편견 속에서 평생을 살아갑니다.

또한, 학교나 직장에서 희귀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아요. 환자들이 자주 병원에 가야 하거나 체력이 약해서 업무량을 조절해야 할 때, 동료들이 불편해하거나 상사가 눈치를 주는 경우도 있죠. 장애인 고용 제도가 있지만, 희귀병 환자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법적인 보호도 부족합니다.

이렇다 보니, 많은 희귀병 환자들이 점점 사람들을 멀리하고, 사회에서 고립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나 소규모 모임에서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과 소통하려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죠.

희귀병에 대한 인식 개선이 절실합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희귀질환의 날’ 을 통해 환자들의 이야기를 알리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이런 캠페인이 활성화되지 않았어요. 더 많은 사람들이 희귀병에 대해 알고,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가 필요합니다.

 

3. 정부 지원이 있다고? 하지만 현실은…

희귀병 환자들을 위해 정부와 민간 단체에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혜택을 받는 사람들은 많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는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사업이 있지만, 지원 대상이 제한적입니다. 어떤 병은 지원이 되지만, 비슷한 병인데도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죠.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신청했다가 거절당하는 환자들도 많아요.

미국에서도 일부 제약사들이 환자들을 위한 고가 의약품 지원 프로그램(PAP)을 운영하지만, 신청 절차가 복잡하고 자격 요건이 까다로워서 많은 환자들이 혜택을 못 받습니다. 유럽에서는 희귀병 연구에 지원을 많이 하지만, 신약 개발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상용화되기까지는 여전히 어려움이 많죠.

결국, 정부에서 지원을 늘려야 합니다. 의료비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희귀병 환자들이 치료비 걱정 없이 치료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해서 더 많은 환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4. 희귀병 환자들을 위한 현실적인 해결 방안

그렇다면, 희귀병 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① 정부의 역할 확대
정부가 의료비 지원을 확대하고, 희귀병 연구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자해야 합니다. 치료제 개발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해외 신약을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② 사회적 인식 개선
희귀병에 대한 교육을 학교와 직장에서 진행하고, TV나 유튜브 같은 대중 매체를 활용해 사람들이 희귀병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캠페인이 필요합니다.

③ 민간 기부와 비영리 단체의 활성화
해외에는 Make-A-Wish 같은 단체가 희귀병 환자들을 돕고 있지만, 한국에는 아직 이런 단체가 부족합니다. 기업들이 희귀병 치료제 연구에 기부를 하거나, 민간 차원의 지원 프로그램을 늘리는 것도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④ 환자 커뮤니티 활성화
희귀병 환자들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공동체가 필요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나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정서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환자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걸 느낄 수 있도록 말이죠.

희귀병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환자들이 더 이상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 속에서 고립되지 않고,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합니다.